조회 : 266
alt + 73 : I
alt + 76 : L
alt + 79 : O
alt + 86 : V
alt + 69 : E
alt + 89 : Y
alt + 79 : O
alt + 85 : U
방법은
Alt key를 누르고 있습니다.
Number Key 7을 누르고,
Number Key 3을 누르고
Alt Key를 놓습니다.
이것을 해당하는 만큼 반복합니다.
명령어 창이든, 텍스트 에디터든 어디서든 해보세요.
민망한 글자가 적힐겁니다.
※ Number Key : 표준 10X키 키보드에서 오른쪽에 있는 숫자모음(과 기타 기호모음)으로 되어있는 부분의 키를 의미합니다.
------------------=-----------------
원리는 alt + 유니코드값의 numkey 를 입력하면
윈도우에서 알아서 해당 값의 글자가 입력되는 것으로 처리한다는 것.
유니코드 값은 어떻게 아나요?
->윈도우의 시작 -> 보조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문자표
-> 원하는 문자 선택히 문자표 밑의 상태표시줄에 U+16진수 로 표시됨
주의점
16진수기 때문에 10진수로 변환해야합니다.
ALT key를 누루고 있으면서, Num Key로 숫자를 입력 하고, ALT key를 놓아야합니다
------------------=------------------------
이방법은 윈도우 95때에서 있었죠.(그 때 유니코드였는지는 모르겠습니다.)
3.1때는 모르겠네요.
===============-==========
ps.
상대가 마음에 안 들 때
alt + 75 , alt + 73 , alt + 78
제목 |
---|
[기본형] HTML (with 부트스트랩5.3 , jquery 3.7, vue.js) |
유용한 리눅스(LINUX) 명령어 |
[공지] 기술 게시판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6.29
|
6.3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7.10
|
7.11
|
7.12
|
7.13
|
7.14
|
7.15
|
7.16
|
7.17
|
7.18
|
7.19
|
7.20
|
7.21
|
7.22
|
7.23
|
7.24
|
7.25
|
7.26
|
7.27
|
7.28
|
7.29
|
7.30
|
7.31
|
8.1
|
8.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