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ueMicrotask()

new 2
Task 안에서 동작이 완료된 뒤 렌더링 직전에 동작하는 microtask 를 등록한다.

-----------=---------
console.log("마이크로태스크 추가 전");
queueMicrotask(() => {
  console.log("마이크로태스크를 실행했습니다.");
});
console.log("마이크로태스크 추가 후");
=>
마이크로태스크 추가 전
마이크로태스크 추가 후
마이크로태스크를 실행했습니다.  <---
=> 설명
다음의 간단한 예제에서는, 큐에 추가한 마이크로태스크의 콜백은 최상위 스크립트의 동작이 끝난 후 실행된다는 것을 보입니다.
이어지는 코드에서 queueMicrotask()를 사용해 실행할 마이크로태스크를 예약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앞뒤로는 log() 호출을 배치했는데, 화면에 텍스트를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
1. 하나의 Task 가 종료, 최상위 스크립트가 종료된 후 동작.
1.1. 보통 최상위 스크립트가 종료될 때 렌더링이 시작함. 즉, 보통 렌더링 직전에 microtask 를 실행함.
2. 등록하면 중복으로 여러번 호출 할 필요 없이 한번에 마지막에 호출된다.
3. 보통은 사용할 안한다네...
3.1. 프레임 워크 등에서 일관되게 처리해야하는 동작이 있을 때 사용하자. 성능과 사용성에서 뒤로 미뤄도 되는 경우에 사용하자.


움. 대충 정리했는데 잘 이해가 안되네
결론은
함수 호출이 최종 마지막으로 끝나면 그 때 post hook 처럼 동작함.
최외각 함수(A)안에 함수(B)안에 함수(C)를 호출하면 C에서 queueMicrotask()를 해도 C 종료후 B 종료후 A가 종료될 때 실행함.(execution context stack)

댓글
  • No Nickname
    No Comment
  • 권한이 없습니다.
    {{m_row.m_nick}}
    -
목록형 📷 갤러리형
제목
[기본형] HTML (with 부트스트랩5.3 , jquery 3.7, vue.js)
유용한 리눅스(LINUX) 명령어
[공지] 기술 게시판
7.27
7.28
7.30
7.31
8.2
8.3
8.4
8.5
8.8
8.9
8.10
8.11
8.12
8.13
8.14
8.15
8.16
8.17
8.18
8.19
8.20
8.21
8.22
8.23
8.24
8.25
8.26
8.27
8.28
8.29
8.30
8.31
9.1
9.2
9.3
9.4
9.5
9.6